왜 계약서가 중요한가요?
프리랜서 계약서는 단순한 일거리 확인서가 아니라,
다음과 같은 목적을 모두 만족해야 하는 공식 문서입니다:
- 법적 보호: 클라이언트와 분쟁이 생겼을 때 증거가 됨
- 소득 증빙: 세무서나 출입국관리소에 제출할 수 있는 근거
- 비자 연장/발급 자료: 실제 일하는 증거로 활용
- 펀딩, 보조금 신청 시 활용: 한국 정부나 스타트업 지원 기관에 제출 가능

계약서 작성 시 필수 항목
항목/설명/이유
① 계약 당사자 정보 | 이름, 생년월일, 주소, 연락처. 외국인은 여권번호, 외국인등록번호 포함 | 상대방 신원 확인, 세무 당국 제출 시 필요 |
② 업무 범위 (Scope of Work) | 예: 콘텐츠 번역, 디자인, 앱 개발 등 구체적 기술 | “일한 증거”로 세무 신고 및 비자 심사 통과에 도움 |
③ 계약 기간 | 정확한 시작일과 종료일. 혹은 월 단위 계약 명시 | 일회성인지 지속적인지 구분 가능해야 함 |
④ 보수 및 지급 방식 | 금액, 지급 시기, 통화, 계좌 또는 전자결제 수단 등 구체화 | 세무신고, 송금 증빙을 위한 핵심 자료 |
⑤ 결과물 권리(저작권) | 작업물에 대한 소유권, 사용 범위, 수정 여부 등 기재 | 분쟁 예방 및 계약 종료 후 활용 여부 명확화 |
⑥ 계약 언어 및 관할 법률 | "이 계약은 한국법에 따른다" 혹은 "영문/국문 병기 계약" | 향후 국제 분쟁이나 세무 감사 시 기준 명확화 |
소득 증빙 & 세금 관련 팁
프리랜서 소득은 일반적으로 사업소득으로 분류됩니다. 특히 외국인은 다음과 같은 증빙이 꼭 필요합니다:
팁/설명
계약서 원본 PDF 보관 | 국세청, 출입국사무소 등에서 원본 요청 가능 |
거래 내역 명확히 | 입금 내역, 인보이스, 세금 포함 여부 등 일치시켜야 함 |
원천징수 여부 기재 | 예: "총 금액 1,000,000원 중 3.3% 세금 공제" 등 |
세무사 활용 | 특히 연 1,000만 원 이상 수익이 있는 경우, 간편장부 또는 세무대리인과 협업 권장 |
번역 팁: 영문/국문 계약서 만들기
한국에서 활동하는 외국인은, 영문만으로 작성된 계약서는 세무 신고나 비자 심사에서 거절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“영문 + 국문 계약서”를 추천합니다.
예시 구조:
[국문]
제3조 (업무의 범위)
을은 아래의 업무를 성실히 수행하여야 한다:
- 웹사이트 디자인 (UI/UX)
- 반응형 웹 개발
[영문]
Article 3 (Scope of Work)
Party B agrees to faithfully perform the following tasks:
- Website design (UI/UX)
- Responsive web development
제3조 (업무의 범위)
을은 아래의 업무를 성실히 수행하여야 한다:
- 웹사이트 디자인 (UI/UX)
- 반응형 웹 개발
[영문]
Article 3 (Scope of Work)
Party B agrees to faithfully perform the following tasks:
- Website design (UI/UX)
- Responsive web development
번역 도구 추천:
- DeepL Translator: 자연스러운 영문 문장
- Grammarly: 문법 체크
- Papago: 실용적인 국문 번역 (무료)
📌 참고: 계약서 내 언어 우선권도 명시하세요
예: “국문과 영문 해석이 다를 경우, 국문 계약서를 기준으로 한다.”
인보이스 + 세금영수증 첨부
계약서에 더해 반드시 준비해야 할 두 가지 서류:
- 인보이스 (Invoice)
- 거래내역서: 계약서대로 정해진 금액, 날짜, 작업 범위 기재
- 외국 은행 사용 시 통화, 환율 정보 추가
- 세금계산서 or 간이영수증
- 외국인은 대부분 간이영수증 형식으로 충분
- 개인사업자라면 홈택스에서 세금계산서 발행도 가능
이런 상황에 계약서가 필요해요
상황/증빙 목적
비자 연장 or 발급 (D-10, F-2, D-8 등) | 출입국사무소에서 ‘활동 증빙’으로 요청 가능 |
종합소득세 신고 | 홈택스에 직접 제출하거나 세무사에게 전달 |
정부지원 사업 참여 | K-Startup, 청년창업자금 등 신청 시 |
해외 본국 신고 | 외국 세무기관에 한국 수익 신고할 때 |
추천 문서 및 자료
종류/제공 기관
계약서 샘플 (영/한) | 서울글로벌센터, KOTRA |
세금 신고 지원 | 삼쩜삼, 국세청 홈택스, 외국인 지원센터 |
외국인 프리랜서 정보 | 서울창업허브, 청년창업사관학교, 비자포털 (HiKorea) |
'디지털 노마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디지털 노마드 단기 창업 전략: 비자, 세무, 펀딩 연계 (2) | 2025.07.22 |
---|---|
한국 입국 전 외국인이 반드시 준비해야 할 사항 (2) | 2025.07.22 |
외국인을 위한 한국 세금 자동 계산기 & 모의 신고 도구 가이드 (0) | 2025.07.22 |
디지털 노마드 단기 창업 전략: 비자 · 세무 · 펀딩 연계(2025년 최신 기준) (0) | 2025.07.22 |
한국 버스 앱 & 택시 앱 실전 가이드 (외국인용) (0) | 2025.07.22 |